목록속도 (21)
zipi
원문 : http://zipi.me/509이번 포스팅에서는 갤럭시 플레이어 70 플러스의 스펙을 알아보고 간단히 벤치마킹 결과와 UI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갤플70Plus는 1GHz의 듀얼코어와 1GB의 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제품의 자세한 스펙을 살펴보고 벤치마킹 툴을 이용한 결과와 UI를 살펴 보겠습니다.관련글[갤플70Plus] 단순한 재생기는 가라! 갤플70Plus로 즐기는 SNS!! [갤플70Plus] 갤플70Plus 개봉기 및 제품 외관 살펴보기 [갤플70Plus] 갤플70Plus로 게임 즐기기(게임 로딩 속도, 게임 플레이 영상) [갤플70Plus] 갤플70플러스로 어학공부하는 방법!! 강력한 내장 사전 소개 갤럭시 플레이어 70 플러스의 스펙갤플70Plus는 5인치 화면에 해상..
원문 : http://zipi.me/507 intel 520 Series 120GB SSD를 사용한지 어느덧 한달이 다 되어 갑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Vertex2 SSD에서 인텔 SSD로 오면서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체감성능은 별로 차이가 없지만 벤치상 또는 파일복사 또는 이동에서 SATA2인 Vertex2보다 확실히 빨라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특히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바로 툴박스! Vertex2는 제대로 된 툴박스가 없어 아쉬웠는데 인텔은 툴박스조차 막강합니다. 이번 글은 툴박스 및 마이그레이션 툴을 소개하면서 한달간 사용해본 후기를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SD 상황을 실시간으로!! intel SSD ToolBox툴박스의 모습입니다. 툴박스는 SSD의 상태를 보여주는 유틸리티 프로그램..
SSD를 설치하게된 후 몇가지 세팅을 해줘야 합니다. 몇가지 설정을 해주면 속도 또한 빨라지고 특히나 제품 수명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지요. intel 520 Series SSD를 사용하면서 SSD가 최적의 속도로 동작하기 위한 몇가지 세팅법을 소개합니다. SSD를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설정들 1. AHCI 설정SSD의 특성상 자동트림이 되야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합니다. 트림은 컴퓨터 사용중 파일을 지우면 파일의 주소만 지우는게 아닌 해당 파일 내용까지 지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하드디스크는 파일 주소만 지우죠. 데이터는 살아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복구하기도 합니다.이렇게 데이터 삭제시 주소 뿐 아니라 데이터까지 모두 삭제하는 것을 트림이라고 하며, SSD는 이 작업이 꼭 필요합니다. 트림이..
원문 : http://zipi.me/502SSD는 읽기/쓰기 속도가 기존의 하드에 비해 굉장히 빠릅니다. 최대 읽기속도의 경우 120GB 기준으로 550MB/s, 최대 쓰기속도의 경우 500MB/s로 기존 하드보다 월등히 빠릅니다. 하드의 경우 최대속도는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50MB/s도 나오지 않습니다.특히 크기가 작은 파일의 경우 속도 차이가 훨씬 심하게 차이납니다. SSD와 하드디스크의 속도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이번 글에서는 파일 복사와, 압축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하드와 SSD 모두 같은 PC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파일 복사 비교 속도를 비교해 보기 위해 파일을 복사해 보았습니다.방법은 SSD-SSD, HDD-HDD 사이에서 League of Legend 클라이언트 파일을 복제해..
SSD하면 빠른 전송속도와 엑세스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하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빠르기를 자랑합니다. 특히 intel 520 SSD의 경우 SATA3를 지원하여 엄청난 빠르기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기존 SATA2에서 제대로 느끼지 못했던 빠른 속도를 SATA3를 통해서 체감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ntel 520 SSD와 일반 HDD의 벤치와 함께 부팅 동영상을 올려보았습니다. intel 520 Series SSD 간단 벤치 먼저 테스트를 한 컴퓨터 사양입니다. CPU : intel i5 2500 MainBoard : AsRock Z68 Extreme4 Gen3 RAM : Samsung DDR3 4GB*4ea SSD : intel 520 120GB (Native SATA3) ..
원본글 : http://zipi.me/447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것은 바로 속도입니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적당히 사용할 만한 속도를 보여줍니다. 1~2MB 정도는 보통 나오는 듯 합니다. 드랍박스 처럼 해외의 경우 매우 느린 속도를 보여줍니다. 포고플러그 업/다운로드 속도 테스트 결과 먼저 포고플러그와 같은 공유기로 연결된 PC에서의 테스트입니다. 공유기는 기가비트가 지원되는 제품으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위처럼 굉장히 빠른 속도로 업/다운이 되고 있습니다. USB 2.0이라 속도가 많이 안나오지만 만약 포고플러그가 USB 3.0을 지원했다면 50~80MB/s 까지 속도가 나올 것입니다. 다만 기가비트가 적용된 공유기를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느끼는 속도는 10~1..
어제 로이스님의 글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링크) iOS 5 업데이트 시 필요한 iTunes 10.5 !! 그런데 이번 업데이트에서부터 더이상 QuickTime가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아이폰/아이패드 iOS5로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iTunes 10.5로 업데이트를 해야 합니다. iTunes 하면 그동안 정말 무거웠습니다. 그 주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퀵타임입니다. 그래서 제가 예전에 쓴 [ 아이튠즈 가볍게 설치하기 ]를 통해서 퀵타임을 QTLite로 변환하여 iTunes를 가볍게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완전히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대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위 사진은 애플에서 직접 받은 iTunes 10.5 설치파일과 네이버에서 받은 iTunes 10.4의 설치파일 압축..
제가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인텔 메인보드입니다. Intel DH67BL Media로 H67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입니다. 기가바이트, 아수스 등의 브랜드도 있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메인보드에 후면 USB가 많다는 장점, 그리고 쓸데 없는 PCI-E가 한개 뿐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아이패드가 충전이 안됩니다. 전류가 약해서인데 타 메인보드는 이런 것을 보정해 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또는 최신의 메인보드는 자체 USB포트가 있어서 전원이 꺼져도 충전이 잘 됩니다. 아이패드 충전이 안되서 아쉬웠는데 아수스, 기가바이트, 에즈락 등의 유틸이 타사 메인보드에도 적용 된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옛날에 해보았는데 그당시에는 되지 않다가 다시 시도해 보니 되는군요. 아무튼 ASUS의 Ai Charger을..
SK와 LG에서 LTE 요금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요금이 비쌉니다. 그 뿐 아니라 아직은 전국에 망이 설치되지 않아서 제대로 이용하기가 불편하지요. 하지만 확실히 속도는 빠른거 같습니다. LG는 최고 75Mbps의 속도로, 왠만한 유선인터넷 속도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최대 속도이기 때문에 더 낮겠지만 적어도 10MBps는 그냥 넘어갈 듯 합니다. 하지막 아직은 전국망이 설치가 안되었고, 요금도 약간은 비싼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KT가 광고하는 4G인 WiBro 가격을 알아보았습니다. 1GB = 1024MB / 1MB = 1024KB로 계산 가격을 보니 LTE보다 저렴합니다. 1G요금은 뭔가 터무니 없지만 30G 요금제는 정말 매력적인것 같습니다. 50G 이상은 쓸 일..
삼성 USB 3.0 외장하드 S2 Portable 3.0 Gamers Edition은 스타크래프트2 설치파일과, 스타크래프트2 1개월 이용권이 들어있습니다. 게이머 분들에게는 정말 좋겠죠? 설치를 하고, 블리자드에서 1개월 이용권을 이용하여 재미있게 스타크래프트2를 즐길 수가 있습니다. 설치법도 한번 클릭만 하면 끝이고, 알아서 척척 설치해줍니다. 할 일은 블리자드 가입하여 이용권 ID를 입력 하는 것 뿐입니다. 스타크래프트2 설치하기 설치는 정말 쉽습니다. 외장하드 내부에 있는 스타2 설치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쉭~! 다만, 설치폴더를 지정할 수 없는게 아쉽네요. SC2OmniInstaller 폴더인에 oem_vista_install_programfiles.cmd를 실행하면 됩니다. 아래는 설치..
OCZ Vertex2 12GB 모델을 공구로 구입하면서 SSD를 장착하게 되었습니다. 인텔 G3, 삼성 S470만 알아보다가 OCZ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인텔은 G2에 비해 생각보다 성능 향상이 적고 가격도 오히려 비싸게 되어 구매하기가 껄끄러웠고, 삼성 s470은 64기가 128기가 두모델인데 64기가는 용량이 적은거 같고 128기기는 정품이 33만원이 넘는 고가!! 뭘 사야 하나 하다가 마침 공구가 진행되서 버텍스2 120기가를 24만원 정도에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 결과부터 말하자면 확실히 빠른 속도! 역시 SSD 라는 것이죠! 일단 크기는 시디케이스 만 합니다. 2.5인치 크기 제품이다보니 사이즈는 플라스틱 시디 케이스만큼 작습니다. 노트북에도 장착이 가능하죠 ^^ 구성품은 껍질(..)과 S..
아이폰 및 아이팟 터치는 풀터치 기반으로 입력을 터치 방식으로 합니다. 이는 과거의 키패드를 입력하는 것과 다르게 터치하는 방식이라 오타율이 높고 버튼의 느낌이 없어서 오히려 속도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버튼의 느낌으로 안보고 메시지를 보내는 신기를 볼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기술입니다. 이런 신기를 가지신분은 엄청난 분이라고 인정하겠습니다. 풀터치 기반이기 때문에 옆 글자를 입력할 경우 지우고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지우는데도 잘못 누를 경우 또다시 지워야 합니다. 버튼 기반의 입력에서는 비록 버튼을 누르는 횟수는 많을지 몰라도 오타율이 적었던거 같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오타가 발견되도 고치기가 귀찮아서 안고치는 경우도 종종 생깁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아이폰에서 오타를 줄이..
3.5인치 외장하드인 쿨러마스터 Xport 351입니다.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사용하며 USB만을 이용하여 PC와 연결합니다. USB는 2.0 방식으로 3.5인치 하드디스크의 속도를 제대로 뽑아주지 못합니다. 개봉~! 박스는 정말 간단합니다. 1TB제품으로 3년 품질보증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표면에는 간단한 정보들이 써 있습니다. 외장하드가 보입니다. 스티로봄과 하단에 종이로 잘 쌓여 있습니다. 구성물입니다. 본체와 전원 어댑터, USB 케이블, 그리고 거치대와 외장하드 케이스 설명서와 하드디스크 보증서가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삼성의 하드디스크 입니다. 위처럼 삼성의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하드디스크를 빼고 껼 때에는 위처럼 선을 빼 줘야 합니다. 전면의 LED를 담당하는 케이블로 ..
이번에 복합기를 하나 구매하였습니다. 구매하다 보니 ppm으로 출력속도를 비교해주었는데 ipm방식으로 출력속도가 표기되고 있었습니다. ipm 방식이 무엇인지 궁금해 검색하다 보니 기존 ppm보다 느끼는 속도를 규격화 한 것이라고 합니다. IPM은 Image Per Minute의 약자로 분당 출력하는 Image PPM은 Paper Per Minute의 약자로 분당 출력하는 Paper 뜻으로 봐서는 PPM이 더 가깝게 느껴지지만 PPM의 측정 방식을 알게되면 PPM을 꺼려하게 될 것입니다. PPM의 측정방식은 한마디로 각 제조사 마음대로 입니다. 무슨 뜻이냐구요? PPM은 각 제조사가 최적의 설정을 통해 얻은 결과입니다. 소비자 기준에서 속도가 빠르면 좋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빨리빨리 습성으로 빠른 것을 ..
Wi-Fi를 연결하려다 보면 가장 많이 잡히는 것이 바로 KT의 Wi-FI입니다. 통신사의 Wi-Fi는 QOOK n SHOW 이나 NESPOT이 거의 절대적이죠. SK나 LG의 Wi-Fi는 잘 보이지가 않습니다. SK는 팸토셀로 3G네트워크에 더 치중한 모습입니다. KT가 와이파이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제 주관적인 입장에서 KT가 옛날부터 NESPOT을 설치하고 있었기 떄문입니다.(짐작은 하셨겠죠?) 언제부터냐고 물으신다면.. 아주 옛날입니다. 정확히 언제라고는 말을 할 수가 없군요. 약 10년정도 제 친구중 한명은 NESPOT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무선인터넷이죠. 아무튼 네스팟은 아주 옛날부터 주요 관공서 같은곳에 설치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때에도 네스팟을 이용하려면 유료로 돈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부분이 바로 원격제어 입니다. 원격제어는 외부에서 다른 곳의 PC를 제어하는 것인데 이를 스마트폰으로 할 수가 있습니다.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조작을 스마트폰으로 하여 실제 하는것보다는 느리지만 충분히 컴퓨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 할 어플은 원격제어 어플 중 하나인 팀 뷰어입니다. 팀 뷰어는 개인사용자에게는 무료로 배포되고 있으며 다양한 OS에서 팀뷰어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원격제어 어플 중 RDP는 기본적으로 윈도우 시리즈만 이용가능하며 최고의 속도를 자랑하는 Crazy Remote도 윈도우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드로이드에서는 크레이지 리모트를 사용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소개하는 팀뷰어는 여러..
이번에 소개할 앱은 Crazy Remote입니다. 아이폰 원격제어 어플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아이폰 및 아이팟 터치를 이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정식 가격은 19.9$입니다. 원격제어로 동영상 감상 및 조작이 힘들지만 게임까지도 가능한 원격제어 최강의 어플!! 유료라는 단점이 있지만 구매해도 아깝지 않은 최고의 원격제어 어플입니다. 원격제어로 게임까지 가능한 크레이지 리모트! 원격제어를 이용 할 경우 컴퓨터 화면을 아이폰으로 전송하여 보여주게 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속도에 영향도 있지만 어플 자체 기능도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제가 사용해 본 원격제어 어플은 TeamViewer과 Crazy Remote를 주로 사용해보았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크레이지 리모트가 속도가 훨씬 빠른 장점이 ..
NAS가 많이 부러워서 하나 만들게 되었습니다. 애초에는 NAS를 사려다가 아톰이 들어가는 작은 컴퓨터면 어떨까? 하고 시작하게 된것이 결국 만들어 버렸습니다. 시딩머신과 개인 홈서버 하고 이것저것 하려다 보면 NAS보단 어려워도 OS만 잘 만지면 대단한걸 할수 있지 않을까 해서 시작했답니다. 사양은 아톰이 들어간 사양.. CPU가 통합된 메인보드와 램 한개, 케이스와 파워만 구매하였고 하드디스크는 기존에 있던 걸로 사용했답니다. 구매한건 이렇게 이랍니다. 기가바이트의 D525 아톰 CPU가 포함된 메인보드와 DDR3램 한개. 그리고 미니 ITX 케이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파워.. 파워는 DC to DC인데 원래 저 케이스 지원이 안되지만 그냥 샀습니다. 어떻게든 되겠죠? 하고.. 작은 형식인데 실제로 ..
결국 샀습니다. 전에 쓰던 모델이 g104라는 녀석으로 대략 3년된 모델이었죠. 고장난것도 아니지만 바꾼 이유는 내부를 기가비트로 꾸미고 싶었고 n모드 와이파이도 써보고 싶었던 것이죠. 가격이 꽤 비쌌지만 잘 쓰고 있네요. 안테나 3개라서 그런지 확실히 잘 터지기도 하구요. 다만 크기가 쌀짝 큽니다. 기가비트!!! 이거 때문에 산 이유죠. 내부 기가비트 회선 한번 만들어 보겠다구 ㅡㅡ. 본체와 크레들, 그리고 전원 어댑터와 스티커(?)가 하나 있네요. 설명서와 시디도 있지만 과감히 보지 않기로 했습니다. g104때와 별반 다를게 없더군요. 안테나 길이가 엄청나게 길답니다. 본체만 하니까.. 쭉쭉 뻣네요. 단 분리는 안된다는 단점!! 분리가 되었다면 가지고 있던 지향성 안테나를 하나 연결해 줬다면 더 좋았..
MS IE와 구글의 크롬의 실행속도 비교입니다. 단순 실행 동영상입니다. 몇초 걸렸는지 동영상으로 녹화를 해보았습니다. 컴터 내부에서 바로 녹화해볼까 했지만 실행속도에 영항을 미칠거 같아 직접 녹화했습니다. 먼저 컴퓨터 사양입니다. CPU : Intel 펜티엄4 2.53Ghz RAM : DDR 1GB(512MB x 2) VGA : Geforce FX 5500 HDD : 7200RPM 80GB 꽤나 오래된 모델입니다. 그리고 현재 윈도우 상태는 좋지 않습니다. 즉 오랫동안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서로 엉키고 엉킨 상태입니다. 윈도우 관리를 잘 하지 않고 사용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IE 8 과 구글 크롬 포터블을 사용했습니다. 포터블이라 실제로 설치한 것과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많이 차이 나지 않을거..
토렌토를 사용하다보면 인터넷이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토렌토 뿐만 아니라 요즘은 많이 쓰지 않지만 당나귀나, 푸루나, 이뮬 같이 한 파일을 여러 유저에게 동시에 받는 경우 이런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이유는 보안상 동시접속이 어느 수 이상 되지 않게 막아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이 올려둔다 하여도 개인용 PC에서 딱히 이상이 없기 때문에 이 유틸을 소개합니다. 프로그램 명 : Windows Half-open limit fix (patch) 지원 OS : Windows XP SP1(x64)/SP2(x86,x64)/SP3, Server 2003 SP1(x86)/SP2(x86,x64), Server 2008(x86,x64), Vista without SP(x86,x64) and with SP1(x86,x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