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유기 네트워크 (46)
zipi
이전 글에서 QNAP NAS에 SVN을 설치하고 apache와 연동하는 내용을 적었습니다.한가지 문제는 재부팅 할경우 Qthttpd.sh가 초기로 복원되면서 svn을 로드하는 apache 설정까지 같이 변경됩니다. 따라서 NAS를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SVN이 시작되지 않습니다.별도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http://wiki.qnap.com/wiki/Running_Your_Own_Application_at_Startup위 링크를 ..
QNAP NAS에 Subversion(SVN) 설치 방법입니다.구글링을 통하면 여러 방법이 나오지만, 오래된 내용이라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apache와 연동이 제대로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SVN 설치 및 apache 연동하여 웹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SVN을 설치한 기기는 TS-212P 모델로, 펌웨어 버전은 4.1.0입니다. 1. 준비사항ssh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근해야 합니..
QNAP TS-212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웹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 도중 공유기 리셋으로 인터넷이 끊기면서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status LED가 초록색과 빨간색을 0.5초 단위로 계속 깜박이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 도중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을 때입니다. 이 경우 QNAP NAS를 복원해줘야 합니다.복원은 QNAP 홈페이지에 잘 나와 있습니다.https://qn..
ipTIME 공유기가 성능은 일반적인 수준이지만 꾸준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국내에서 아주 인기 있는 제품입니다. 너무 많은 공유기 종류때문에 복잡하기까지 하지만, 그 많은 공유기들의 펌웨어를 꾸준히 내주고 있습니다.이번에 N6004 펌웨어 업그레이드 도중에 멈춰버린 일이 발생했습니다. 업그레이드를 진행시켰더니, 화면은 그대로이지만 몇분을 기다려도 인터넷에 연결은 안되는 상황이었습니다.아마 공유기까지는 연결되었는데 인터넷에 연결이 안된 경우가 그 경우..
공유기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설정을 하게 됩니다. DMZ 설정부터 포트포워딩, 방화벽, 무선네트워크 설정 등 다양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특히 포트포워딩같이 숫자가 많고 여러대의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후에 기기의 설정이 지워졌을 경우 다시 추가하기가 힘듭니다.포트는 최대 6만개가 넘는 숫자가 있고, 이 숫자와 아이피를 매칭하기 때문에 설정이 초기화 되면 매우 난감합니다. ipTIME 공유기에서는 공유기 설정을 백업할 수 있고, 다시 복원도 가능합니다..
요즘 거의 대부분의 공유기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ipTIME 공유기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3~4년 전에 나온 최하위 시리즈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어서 많은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특히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버그와 함께 스마트폰 호환성이 좋아지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소개해 봅니다. 쉽게 하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ipTIME 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한 후 좌측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들어가면 됩..
공유기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중 하나가 바로 와이파이 일겁니다. 요즘 유무선공유기가 스마트폰 때문에 엄청 팔리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에 와이파이가 많이 잡힙니다. 그런데 비밀번호가 걸려있지 않으면 보안에 매우 취약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이 와이파이 신호를 가져다 쓰기 때문에 실제 이용해야 할 때 속도가 안나오거나 느릴 수 있습니다.또한 누군가가 공유기 관리페이지로 접속해 설정을 바꿔두는 악행을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와..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면서 다른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상태일 때 누구나 관리페이지에 접속해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원룸이나 와이파이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외부에서 접속하여 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인터넷을 끊거나 원룸일 경우 특정 IP에 대역폭을 몰아줄 수 있기 때문에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유기라면 관리페이지 접속에 암호를 넣어주는게 좋습니다. 관리페이지 접속 암호 설정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한 후 위..
이번 포스팅에서는 ipTIME 공유기의 기능 중 하나인 QoS를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이 기능은 지정된 PC의 최저속도를 보장하거나 인터넷 속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이 기능은 스마트폰을 쓰시던 분이라면 간혹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무제한 인터넷 사용중인데 너무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면 통신사에서 속도를 제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QoS라고 합니다. 품질 관리를 위해 속도를 제한하는 것입니다.ipTIME 공유기에서도 이러한 기능이 있습니다...
공유기 관리페이지를 외부에서 접속 할 수 있다면, 공유기 내 설정을 외부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역시 WOL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컴퓨터를 부팅 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 외에도 DMZ, 포트포워드 등을 외부에서 바꿀 수 있지만, 실제로 활용하는 일은 WOL이 가장 많습니다. 또한 내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한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지정된 컴퓨터에서만 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접속 보안 변경법 ipT..
ipTIME 공유기의 내장된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이번에는 공유기의 인터넷 사용제한을 통한 특정 IP를 차단하거나 특정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특정 IP의 경우 DDos같이 자신을 공격하려 하는 IP나 계속 접속 시도하려는 IP 등을 차단하는데 유용합니다. 다만 일반인이 많이 사용할 만한 기능은 아닙니다. 다만 특정 사이트 차단의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이번 글에서는 ipTIME 공유기 인터넷 사용제한으로 지정한 시간에만 인터넷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인터넷 사용제한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방법은 집안의 자녀가 지정된 시간 이후에 인터넷을 못하게 막거나, 지정된 요일, 시간에만 인터넷을 사용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자기 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사용 제한에서 옵션으로 내부PC의 인터넷 사용 제한 뿐 아니라 외부에서 접근하는 IP를 차단시킬수 있습니다. 방화벽..
공유기를 사용하면서 불편한 점 중 하나는 바로 게임이나 다른 서비스 중 안되는 것이 있을 때 입니다. 특히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등의 방만들기나 웹서버, 원격제어 등은 포트포워딩 또는 DMZ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을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이런 사실을 모르고 한참 고민하는데 DMZ나 포트포워딩으로 쉽게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포트가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다. 방화벽과 함께 포트포워딩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공..
이번 글에서는 ipTIME 공유기에서 무선랜(와이파이)의 활용법으로 멀티 무선네트워크와 무선 멀티브리지, WDS 기능을 소개합니다. 이 기능들을 이용하면 와이파이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브리지를 제외하면 개인보다는 큰 지역을 와이파이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멀티 무선네트워크, 멀티브리지, WDS 기능은 공유기 모델마다 지원이 안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기본설정은 ipTIME 공유기 n모드 활성화를 위한..
이번 포스팅에서는 ipTIME 공유기에서 무선설정과 무선보안설정 방법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유무선공유기 사용중 와이파이 비밀번호 사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외부에서 누군가가 접속 할 수 있어 보안상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결정적으로 n모드 지원 공유기를 사용하더라도 비밀번호를 걸지 않으면 g모드로 동작, 최대 속도가 느리며 와이파이 범위가 n모드보다 짧아집니다.(수정 : 2012.02.23) 비밀번호를 걸지 않거나 WEP, TKIP 방..
ipTIME 공유기 인터넷 연결 설정방법입니다. 처음 공유기를 구입하게 되면 망설이는 것이 바로 선 연결과 함께 기본 세팅입니다. 공유기는 한번 세팅해 두면 그 이후로 세팅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번글에서는 인터넷 연결 설정으로 각종 회선 방식에 따라 연결하는 방식과 설정법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기 랜선 꼽는 방법 먼저 공유기를 연결해야 합니다. 주로 가정집일 경우를 가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맨 처음의 색이다른 랜단자(W..
가장 많이 사용하는 ipTIME 공유기 관리페이지의 기능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관리페이지 접속법과 각종 설정법들을 앞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가장먼저 관리페이지 접속법, 그리고 페이지 설명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리페이지 접속하기 관리페이지 접속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크롬, 파이어폭드 등을 이용해서 접속합니다. 기본적인 주소는 http://192.168.0.1입니다. ht..
ZIO 공유기를 보면 관리페이지가 2개로 나타납니다. ipTIME의 경우 전 공유기가 통일되어 있지만 ZIO의 경우 예전모델에서 주로 사용하던 모습과, 최근에 나오는 모델의 공유기 관리페이지가 다릅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RBoot에서 지원하는 공유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델마다 그리고 펌웨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 RBoot에서 지원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모습의 공유기를 지원합니다. http://192.168...
꺼진 컴퓨터를 부팅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 WOL(Wake on Lan) 입니다. 랜카드로 특정 신호를 보내면 컴퓨터가 부팅이 됩니다. WOL을 이용하려면 몇가지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1. 바이오스(메인보드) 지원 2. 랜카드 지원 3.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이 중 한가지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지원하지 않습니다. 메인보드의 경우 최근 PC의 경우 모두 된다고 보시면 되며 일부 노트북이나 구형 메인보드에서는 지원하지 않거나 ..
원격 데스크톱 연결 포트 변경 방법입니다. 기본 포트가 모든 윈도우 PC끼리 동일하기 때문에 자칫 보안에 큰 위험이 되기도 합니다. 아이피주소만 알면 바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개인 유저는 비밀번호를 걸지 않습니다. 비밀번호를 걸기가 귀찮다면 포트 번호를 변경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포트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지스트리에서 포트를 변경한 다음, 윈도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를 열어줍니다. 공유기..
윈도우 기본 기능에는 원격데스크톱 기능이 있습니다. 원격데스크톱은 원격제어기능으로 윈도우 자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 프로그램보다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또한 따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어서 간단하게 사용 할 때는 편리합니다. 공유기 내에서 컴퓨터가 2대일 때 외부에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주로 원격데스크톱의 포트번호를 변경하여 2대의 PC를 연결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만을 이용해서 공유기 내..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원격제어가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으로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가볍고 무료, 사용 프로그램에 뒤지지 않는 속도로 매우 빠릅니다. 오히려 더 빠르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떄가 많은데 기본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본 원격제어 사용법과 공유기 사용자를 위한 포트포워딩 방법을 적어보곘습니다. ..
WOL, 원격부팅을 사용하려면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아수스 메인보드의 WOL 사용을 위한 바이오스 설정법을 써보겠습니다. 아수스의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2가지로 구분됩니다. 최근에 만들어진 메인보드의 경우 EFI 바이오스라고 하여 마우스 사용이 가능한 GUI 환경입니다. 대부분 샌디브릿지 탑재 메인보드부터 지원합니다. 그 이전에는 구형 바이오스로 키보드만 이용하는 바이오스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바이오스입니다. 방법은 ..
MSI 메인보드에서 원격부팅, WOL을 사용하려면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MSI 메인보드도 역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신형 바이오스(Click 바이오스)와 구형 바이오스가 있습니다. 이 두가지 모두 비슷하지만 한번에 소개해 봅니다. Click Bios(신형) 설정법으로 이동 구형 바이오스 설정법으로 이동 Clcik BIos(신형)신형 바이오스인 Click Bios는 마우스를 ..
WOL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메인보드마다 표기하는 이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약간 해깔리긴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SRock와 인텔의 메인보드 그리고 그 외의 메인보드에서의 설정법을 알아봅니다. 신형 메인보드와 구형 메인보드의 차이는 바이오스 설정 화면이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ASRock 신형 메인..
원격부팅, 즉 Wake On Lan(WOL)사용을 위해서는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원격부팅, WOL 사용을 위한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라면 대부분 비슷한 메뉴이니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설정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GA-P67A-UD3의 메뉴얼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습니다. 부팅시 로고가 나타나면 D..
집이 아닌 외부에서 공유기 관리페이지에 접근하려면 공유기 관리페이지의 포트가 열려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공유기는 외부에서 접속 할 수 있도록 외부 접속용 관리 포트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ipTIME과 zio, 공유기를 이용해서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포트를 설정 하는 방법입니다. ipTIME 포트 설정 ipTIME 공유기 관리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고급 설정] - [보안 기능] - [공유기 접속 ..
외부에서 집의 PC로 접속할 때(웹서버, WOL, FTP, 원격제어 등) IP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환경은 유동 IP 환경입니다. 인터넷 모뎀의 전원을 계속 꺼두거나 한다면 IP가 변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자주 변하지 않지만 긴급할 때 IP가 변해서 접속 할 수 없다면 정말 큰 일이지요.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DDNS입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문자주소(ex. http://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