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유기 네트워크/TIP (21)
zipi
ZIO 공유기를 보면 관리페이지가 2개로 나타납니다. ipTIME의 경우 전 공유기가 통일되어 있지만 ZIO의 경우 예전모델에서 주로 사용하던 모습과, 최근에 나오는 모델의 공유기 관리페이지가 다릅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RBoot에서 지원하는 공유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델마다 그리고 펌웨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 RBoot에서 지원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 모습의 공유기를 지원합니다. http://192.168...
꺼진 컴퓨터를 부팅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 WOL(Wake on Lan) 입니다. 랜카드로 특정 신호를 보내면 컴퓨터가 부팅이 됩니다. WOL을 이용하려면 몇가지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1. 바이오스(메인보드) 지원 2. 랜카드 지원 3.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이 중 한가지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지원하지 않습니다. 메인보드의 경우 최근 PC의 경우 모두 된다고 보시면 되며 일부 노트북이나 구형 메인보드에서는 지원하지 않거나 ..
원격 데스크톱 연결 포트 변경 방법입니다. 기본 포트가 모든 윈도우 PC끼리 동일하기 때문에 자칫 보안에 큰 위험이 되기도 합니다. 아이피주소만 알면 바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개인 유저는 비밀번호를 걸지 않습니다. 비밀번호를 걸기가 귀찮다면 포트 번호를 변경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포트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지스트리에서 포트를 변경한 다음, 윈도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를 열어줍니다. 공유기..
윈도우 기본 기능에는 원격데스크톱 기능이 있습니다. 원격데스크톱은 원격제어기능으로 윈도우 자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 프로그램보다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또한 따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어서 간단하게 사용 할 때는 편리합니다. 공유기 내에서 컴퓨터가 2대일 때 외부에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주로 원격데스크톱의 포트번호를 변경하여 2대의 PC를 연결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만을 이용해서 공유기 내..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원격제어가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으로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가볍고 무료, 사용 프로그램에 뒤지지 않는 속도로 매우 빠릅니다. 오히려 더 빠르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떄가 많은데 기본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본 원격제어 사용법과 공유기 사용자를 위한 포트포워딩 방법을 적어보곘습니다. ..
WOL, 원격부팅을 사용하려면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아수스 메인보드의 WOL 사용을 위한 바이오스 설정법을 써보겠습니다. 아수스의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2가지로 구분됩니다. 최근에 만들어진 메인보드의 경우 EFI 바이오스라고 하여 마우스 사용이 가능한 GUI 환경입니다. 대부분 샌디브릿지 탑재 메인보드부터 지원합니다. 그 이전에는 구형 바이오스로 키보드만 이용하는 바이오스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바이오스입니다. 방법은 ..
MSI 메인보드에서 원격부팅, WOL을 사용하려면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MSI 메인보드도 역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신형 바이오스(Click 바이오스)와 구형 바이오스가 있습니다. 이 두가지 모두 비슷하지만 한번에 소개해 봅니다. Click Bios(신형) 설정법으로 이동 구형 바이오스 설정법으로 이동 Clcik BIos(신형)신형 바이오스인 Click Bios는 마우스를 ..
WOL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메인보드마다 표기하는 이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약간 해깔리긴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SRock와 인텔의 메인보드 그리고 그 외의 메인보드에서의 설정법을 알아봅니다. 신형 메인보드와 구형 메인보드의 차이는 바이오스 설정 화면이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ASRock 신형 메인..
원격부팅, 즉 Wake On Lan(WOL)사용을 위해서는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원격부팅, WOL 사용을 위한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라면 대부분 비슷한 메뉴이니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설정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GA-P67A-UD3의 메뉴얼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습니다. 부팅시 로고가 나타나면 D..
외부에서 집의 PC로 접속할 때(웹서버, WOL, FTP, 원격제어 등) IP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환경은 유동 IP 환경입니다. 인터넷 모뎀의 전원을 계속 꺼두거나 한다면 IP가 변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자주 변하지 않지만 긴급할 때 IP가 변해서 접속 할 수 없다면 정말 큰 일이지요.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DDNS입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문자주소(ex. http://z..
WOL(Wake On Lan)을 사용하려면 랜카드 등록정보에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주로 장치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장치관리자는 Win키 + PauseBreak에서 장치관리자, 또는 제어판에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장치관리자 화면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로 들어가 사용중인 유선 랜카드 어댑터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이후에는 랜카드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
iptime 홈페이지를 돌아다니다가 좋은 정보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바로 무선공유기의 수신률을 높이기 위한 공유기 위치 선정입니다. 1. 공유기는 최대한 높은곳에! 2. 주변이 막힌 곳보다는 열린 공간(문, 창문) 근처에 설치! 3. 안테나가 여러 개일경우 수신하는 안테나와 공유기의 안테나가 서로 90도가 되게 설치! 4. 공유기의 안테나는 최대한 벌려서 설치! 위의 내용..
공유기 2대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좀 이상한 말이지만 1개 공유기 밑에 또 다른 공유기를 놓는 방법입니다. 이방법은 상단에 유선공유기가 있고 WIFI가 필요한데 이 유선공유기 교체가 불가능 할 경우 유선공유기 하단에 유무선공유기를 추가하여 무선인터넷을 이용할때 사용합니다. 또는 공유기의 포트수가 부족하여 확장할때가 되겠네요. 솔직히 이 방법보단 공유기의 포트수가 부족할 경우 허브를 하나 물려주면 됩니다. 하지만 공유기가 남는다면 이렇게..
인터넷을 하다보면 아이피를 바꿔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특정 사이트에서 아이피 차단이 걸려 접속하지 못하거나, 이런저런 이유로 아이피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의 대부분은 유동아이피로, 모뎀이 일정 시간이상 껐다가 다시 켜게되면 IP가 변경됩니다. 하지만 유동아이피라 하더라도 왠만해서 아이피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또한 공유기가 항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공유기 자체가 아이피변경이 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하고 있습..
DIY 랜선 만드는 방법입니다 정확히는 재료를 구해 합체시키는 것이죠. 전선과 보호캡, 랜툴만 있으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에서 구하면 랜선과 랜툴, 캡 등을 2~3만원 정도면 구할 수 있습니다. 저는 CAT.6 15m와 랜툴, 기타 필요한거 합쳐서 약 2만 5천원 가량에 구매하였습니다. 밖에서 구할 수도 있었지만 랜툴이 필요한 이유가 창틀에 난 구멍으로 선을 넣어야 하는데 완성품은 넣을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
옛날에 포스팅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버전업이 되었군요. 핵심 기능은 같지만 추가적으로 한국어 지원이 생겼습니다. 2009/01/10 - [Computer/Software] - TCP/IP 동시접속 제한해제하기 (Windows Half-open limit fix) 지원 OS : Windows XP SP1(x64)/SP2(x86,x64)/SP3, Vista without SP(x86,x64) and wit..
아주 빠른 파일 검색 프로그램이자 HTTP서버와 FTP서버를 동시에 열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용량도 매우 적어 1MB가 되지 않습니다. HTTP서버는 베리즈 웹서버와 같이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웹페이지로 변환하여 다른 PC에서 하드디스크를 보고 다운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FTP서버는 깔려있는 하드디스크를 탐색기처럼 파일로 나타내지는 방법입니다. 맨 처음 실행하면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모두 불러옵니다.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그 후 윗쪽..
인터넷을 이용하다보면 상대방을 알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상대방이 나를 욕하거나 놀리면 열이 받는데 이때가 그 일이죠. 또는 내가 상대방에게 놀리면 상대방은 IP 추적을 한다는 이야기를 종종 들을 수가 잇습니다. 그렇다면 IP 추적. 어떤걸까요? IP란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고유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집 주소와 같은 맥락으로 보면 됩니다. ip주소를 보면 숫자와 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IP주소가 집 주소라고 할수 잇기 ..
IT를 다룬 영화를 보다보면 해외 컴퓨터를 경유해서 목적지까지 가는 해커들의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영화처럼 멋지지는 않지만 그런 기능을 하는것이 프록시 입니다. X라는 목적지 까지 다이렉트로 가는것을 A라는 곳을 들려서 X로 들어가는것이지요. 영화처럼 멋지게 쓰이지는 않지만 인터넷 상에 자신의 IP를 남기지 않거나 회사 정책상 특정 사이트가 접속이 안되는걸 프록시로 우회하여 들어갈때 쓰입니다. 물론 IP가 남지만..